반응형

유통기한 지나고 며칠까지 먹어도 될까?

 

냉장고를 열고 유통기한이 며칠 지난 제품을 보고 고민을 하고는 합니다.

유통기한이 지나고 며칠까지 먹어도 될까?

 

사실 유통기한만 가지고 이걸 알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유통기한은 말 그대로 유통이 가능한 기한이기 때문입니다.

음식의 안전성을 보장해주는 말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유통의 기준이 되는 기간이기 때문에 소비해도 되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차이

 

 

2023년부터 식품의 유통기한이 소비기한으로 바뀌게 됩니다.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의원이 대표 발의한

'식품들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일부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소비기한이란 유통기한과 달리 소비자가 먹어도 이상없다고 판단할 수 있는 기한을 뜻합니다.

 

이렇게 소비기한으로 표시함으로 유통기한 넘긴 제품들을 폐기하는것을 막아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게 가장 큰 목표라고 합니다.

 

좋은 취지의 변화임에는 틀림없으나 소비기한이 제대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식품 판매처의 냉장 유통 환경 상태가 가장 중요하다고 합니다. 

 

유통기한이 지나도 먹을 수 있는 음식

 

유통기한이 지나도 먹을 수 있는 음식들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꿀, 설탕, 소금

꿀, 설탕 소금은 유통기한이 의미없다고 합니다.

그늘지고 건조하게 유지만 한다면 오래 먹어도 됩니다.

 

 

 

 

 

2. 통조림

통조림 식품은 유통기한보다 보통 1년정도 더 먹어도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반드시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고

뚜껑에 이상이 있거나 부풀거나 움푹한곳이 있으면 섭취하시면 안됩니다.

 

 

 

 

 

3.냉동식품

냉동실의 온도는 음식이 상하는것을 오래동안 막아주어서

포장된 냉동식품은 보통 기한이 지나고 섭취해도 안전하다고 합니다.

 

 

 

 

 

4. 요거트

냉장 보관하는 유제품은 보관이 제대로 되었을 경우 유통기한이 지나도

약 한달정도 더 섭취 가능하다고 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